오늘의 IT 트렌드: AI 기술의 일상화와 지속가능한 혁신, 그리고 플랫폼 비즈니스의 진화 > IT 트렌드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IT 트렌드

오늘의 IT 트렌드: AI 기술의 일상화와 지속가능한 혁신, 그리고 플랫폼 비즈니스의 진화

본문

오늘의 IT 트렌드: AI 기술의 일상화와 지속가능한 혁신, 그리고 플랫폼 비즈니스의 진화

뉴스 요약

1. 마케팅 효율 높일 최적의 인플루언서 데이터 기반 매칭…‘스타일메이트’

서울과기대와 동아닷컴이 공동 기획한 기사에서, 스타트업 '스타일메이트'가 AI 기반 '룩태그(LookTag)' 기술을 활용해 인플루언서의 콘텐츠를 분석, 브랜드에 최적화된 인플루언서를 매칭하여 마케팅 효율을 극대화한다고 소개했습니다. 이 플랫폼은 비정형 데이터를 정형 데이터로 변환하고, 브랜드 히스토리와 캠페인 데이터를 분석해 최적의 인플루언서를 자동 매칭합니다. AI의 효율성과 함께 인간의 감각적인 기획을 결합하여 차별점을 두며, 글로벌 시장 진출도 활발히 추진 중입니다.

한상희 스타일메이트 대표
한상희 스타일메이트 대표 / 출처=스타일메이트

2. 릿툰 “네이버 웹툰처럼 숏툰의 대명사 되고 싶어요”

동국대학교 캠퍼스타운의 지원을 받는 '릿툰'은 숏폼 콘텐츠 시대에 발맞춰 1~20컷 이내의 짧은 웹툰인 '숏툰' 전문 플랫폼을 지향합니다. 인스타그램에서 숏툰의 인기가 급증하는 가운데, 릿툰은 작가의 작품성을 인정하고 수익화를 돕기 위해 익명성 보장, 작가 성장 지원, 데이터 분석 기반 맞춤 정보 제공 등의 차별화 전략을 내세웁니다. 인기 숏툰 작가의 IP를 활용한 굿즈 판매 및 광고 에이전시 역할도 계획하고 있습니다.

박햇님 릿툰 대표
박햇님 릿툰 대표 / 출처=IT동아

3. [위클리AI] 챗GPT 아틀라스 이어 챗GPT 포 카카오 출시…오픈AI 영향력 확대

이번 주 AI 뉴스에서는 오픈AI의 '챗GPT 아틀라스' 웹 브라우저 출시, 아마존의 배송 기사 전용 스마트 AR 안경 '아멜리아' 개발, 마이크로소프트의 새로운 AI 페르소나 '미코' 공개 및 코파일럿 기능 강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또한 앤트로픽이 한국 사무소 설립을 준비 중이며, 카카오가 카카오톡에 챗GPT 기능을 통합한 '챗GPT 포 카카오'를 출시하여 일상 속 AI 활용도를 높일 계획입니다. 이는 AI 기술이 다양한 산업과 일상에 깊숙이 스며들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오픈AI가 챗GPT 아틀라스를 출시했습니다
오픈AI가 챗GPT 아틀라스를 출시했습니다 / 출처=오픈AI

4. 아뮤즈8 "AI 데이터 자동 태깅 기술로 정보관리, 데이터 처리 혁신"

동국대학교 캠퍼스타운 스타트업 '아뮤즈8'은 AI 기반 정보 관리 자동화 시스템 'CEEP'을 개발하여 기업의 정보 관리 및 데이터 처리 방식을 혁신하고 있습니다. CEEP은 문서나 자료를 분석해 자동으로 태그를 생성하고, 사용자 업무 패턴에 맞춰 파일을 분류합니다. 특히 비정형 데이터를 반정형으로 가공한 후 AI 학습에 자동 활용하는 '약한 라벨링' 기능으로 AI 학습 데이터 정리 비용과 시간을 크게 절감하며, 생산성 향상에 기여합니다.

신동민 아뮤즈 8 대표
신동민 아뮤즈 8 대표 / 출처=IT동아

5. [스케일업] 우트스킨케어 "생태계교란 식물에서 K-뷰티를 싹틔운 비결은?"

동국대 캠퍼스타운의 '우트스킨케어'는 지속가능성 가치를 추구하며, 생태계 교란 식물인 '단풍잎돼지풀'을 활용해 고부가가치 K-뷰티 제품을 만듭니다. 이 회사는 단풍잎돼지풀에서 미백 및 항산화 효능이 있는 성분을 추출하여 미백앰플을 개발했으며, 직접 화장품 원료로 등록했습니다. 지자체와 협력하여 폐기물을 줄이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자원순환형 바이오소재 가공 사업으로 ESG 경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우트스킨케어의 ‘우트 미백앰플’
우트스킨케어의 ‘우트 미백앰플’, 생태계교란 식물인 단풍잎돼지풀을 가공한 제품이다 / 출처=IT동아

6. 파타고니아 꿈꾸는 인베랩의 도전 "AI·드론으로 생태계 복원"

서울시립대학교 캠퍼스타운의 '인베랩'은 AI, 드론, IoT 기술을 활용하여 생태계 교란 식물 방제 및 훼손된 생태계를 복원하는 통합 솔루션을 개발합니다. 다분광 드론을 이용한 정밀 진단과 맞춤형 시드볼(Seed Ball) 파종으로 생물다양성을 정량화하고 ESG 성과 평가와 연계합니다. 인력 중심의 전통적인 생태 관리 방식의 한계를 기술로 극복하며, 글로벌 생물다양성 관리 기업으로의 성장을 목표로 합니다.

신원협 인베랩 대표
신원협 인베랩 대표 / 출처=IT동아

7. 진교훈 강서구청장, “수출상담회로 우리 기업 해외 진출 적극 지원”

진교훈 서울 강서구청장이 서울경제진흥원과 함께 '2025 강서구 해외바이어 초청 수출상담회'를 개최하여 관내 중소기업의 해외 시장 진출을 적극 지원했습니다. IT, 전기전자, 소비재 분야 중소기업 30여 개사와 15개국 해외 바이어가 참여하여 1:1 비즈매칭 상담을 진행했으며, 인도네시아 및 일본 기업과 수출 협력 MOU를 체결하는 등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이는 지역 경제 활성화 및 중소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노력의 일환입니다.

행사장에서 인사말을 전하는 진교훈 서울 강서구청장
행사장에서 인사말을 전하는 진교훈 서울 강서구청장 / 출처=IT동아

8. AI 시대, DX의 새로운 열쇠는 '노코드'

AI 기술의 부상과 함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X)의 새로운 핵심으로 '노코드/로우코드' 기술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 기술은 코딩 지식 없이도 누구나 쉽게 업무용 앱이나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도록 하여 기업의 혁신 속도를 가속화합니다.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등 글로벌 기업들이 AI 기능을 탑재한 노코드 도구를 확산시키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가비아가 기업용 AI 어시스턴트 'AI채팅'을 출시하는 등 노코드 기술을 통한 업무 효율 향상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코딩 지식이 부족해도 업무용 서비스나 앱을 개발할 수 있는 노코드-로우코드 기술
코딩 지식 없이도 업무용 서비스나 앱을 개발할 수 있는 노코드-로우코드 기술 / 출처=제미나이로 생성

9. 도미노이펙트, 외국인 요양보호사 교육 앱 ‘하모(HAMO)’ 정식 출시

글로벌 돌봄 인재 교육 전문기업 도미노이펙트가 외국인 요양보호사 교육 앱 '하모(HAMO)'를 정식 출시했습니다. 초고령사회 돌봄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하모 앱은 요양보호사 표준 교재를 베트남어, 러시아어, 영어, 중국어 등 다국어로 제공하며, 실제 시험 환경에 맞춘 학습 기능과 오프라인 학습 기능을 갖추고 있습니다. 도미노이펙트는 하모를 단순한 교육 앱을 넘어 교육, 취업, 비자까지 연계하는 원스톱 플랫폼으로 고도화하여 외국인 인재의 한국 정착을 돕는다는 목표입니다.

외국인 요양보호사 교육 앱 ‘하모(HAMO)’
외국인 요양보호사 교육 앱 ‘하모(HAMO)’ / 출처=도미노이펙트

10. 중소기업 브랜딩을 위한 토털 솔루션, '핫한'

동국대학교 캠퍼스타운 스타트업 '핫한(HOT:Haan)'은 중소기업 및 스타트업을 위한 브랜딩 토털 솔루션을 제공하는 에이전시입니다. 기획부터 디자인, 개발, 촬영까지 전 과정을 자체 네트워크로 수행하는 통합 서비스를 통해 중소기업이 겪는 브랜딩 일관성 유지의 어려움을 해결합니다. 웹서비스 제작, 디자인 구독 모델, 업종별 특화(프랜차이즈), 올인원 패키지 등 다양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며, 고품질 결과물과 비용 효율성을 동시에 추구합니다.

핫한 본사 내부
핫한 본사 내부 / 출처=핫한

오늘의 핵심 키워드

  • AI 기술 (챗GPT, 코파일럿, AI 에이전트)
  • 플랫폼 비즈니스 (인플루언서 매칭, 숏툰, 교육, 브랜딩)
  • 지속가능성 & ESG
  • 데이터 분석 & 자동화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DX)
  • 노코드/로우코드 개발
  • 생태계 복원 & 생물다양성
  • K-뷰티 & 바이오소재
  • 글로벌 확장 & 해외 진출
  • 스타트업 & 중소기업 지원
  • 초고령사회 & 돌봄 인력
  • AR/VR 기술

Copyright © lifeuniverse.k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