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IT 트렌드: AI 혁신, 모빌리티 전동화, 스타트업 성장, 그리고 지속가능성 > IT 트렌드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IT 트렌드

오늘의 IT 트렌드: AI 혁신, 모빌리티 전동화, 스타트업 성장, 그리고 지속가능성

본문

오늘의 IT 트렌드: AI 혁신, 모빌리티 전동화, 스타트업 성장, 그리고 지속가능성

오늘의 IT 뉴스는 인공지능(AI) 기술의 산업 전반으로의 확산, 전기차 시장의 고도화, 유망 스타트업들의 활발한 투자 유치, 그리고 데이터 주권 및 지속가능성에 대한 중요성까지 다채로운 트렌드를 보여줍니다. 각 분야에서 혁신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상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뉴스 요약

1. 젠슨 황이 던진 AI 주사위, '큰 숫자' 나오려면 운용과 지원 모두 필요해

엔비디아 CEO 젠슨 황은 APEC CEO 서밋에서 AI 팩토리 구축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AI 모델 구축의 필수 요소인 GPU의 역할을 역설했습니다. 엔비디아는 한국에 총 26만 대의 GPU를 공급할 계획이며, 이는 네이버, 삼성, SK, 현대차 등 국내 주요 기업에 배분되어 한국을 세계 3위 규모의 AI 인프라 국가로 도약시킬 것입니다. 그러나 이 막대한 GPU 자원을 효율적으로 운용하기 위한 전력 수급 문제와 더불어, 국내 AI 반도체(NPU) 기업들의 경쟁력 약화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가 APEC CEO 서밋 2025에서 국내 AI 생태계 지원에 대해 발표했다 / 출처=엔비디아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가 APEC CEO 서밋 2025에서 국내 AI 생태계 지원에 대해 발표했다 / 출처=엔비디아
엔비디아 AI 팩토리는 대규모로 기업 인텔리전스를 제조하는 데 최적화돼 있다 / 출처=엔비디아
엔비디아 AI 팩토리는 대규모로 기업 인텔리전스를 제조하는 데 최적화돼 있다 / 출처=엔비디아
현대자동차는 이번 물량을 인도받을 시 완성차 업체 중 최고 수준의 AI 인프라를 갖추게 된다 / 출처=IT동아
현대자동차는 이번 물량을 인도받을 시 완성차 업체 중 최고 수준의 AI 인프라를 갖추게 된다 / 출처=IT동아

2. [신차공개] 캐딜락 ‘에스컬레이드 IQ’ 출시·포르쉐 '카이엔 일렉트릭 고전압 시스템 기술' 공개

전기차(EV) 시장의 프리미엄 경쟁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캐딜락은 플래그십 SUV '에스컬레이드'의 순수 전기 모델 '에스컬레이드 IQ'를 출시하며 739km의 주행 거리와 슈퍼크루즈 기능을 선보였습니다. 포르쉐는 올해 말 공개될 '카이엔 일렉트릭'에 800V 고전압 시스템과 효율적인 열 관리 기술을 탑재하고, 2026년부터 무선 충전 시스템을 도입할 예정이라고 밝혀, EV 기술의 진보를 이끌고 있습니다.

캐딜락 ‘에스컬레이드 IQ’(왼쪽)와 포르쉐 ‘카이엔 일렉트릭 고전압 시스템’ / 출처=각사
캐딜락 ‘에스컬레이드 IQ’(왼쪽)와 포르쉐 ‘카이엔 일렉트릭 고전압 시스템’ / 출처=각사
캐딜락 ‘에스컬레이드 IQ’ / 출처=캐딜락
캐딜락 ‘에스컬레이드 IQ’ / 출처=캐딜락
포르쉐 ‘카이엔 일렉트릭 고전압 시스템’ / 출처=포르쉐
포르쉐 ‘카이엔 일렉트릭 고전압 시스템’ / 출처=포르쉐

3. [주간투자동향] 케어닥, 310억 원 규모 투자 유치 外

다양한 분야의 스타트업 투자 소식이 이어졌습니다. 시니어 토탈 케어 기업 케어닥은 시니어하우징 PF를 통해 310억 원을 유치했고, 호스피탈리티 AI 기업 온다는 75억 원 규모 시리즈B 브릿지 투자를 받았습니다. 부동산 핀테크 '홈큐' 운영사 빅테크플러스는 57억 원 시리즈A 투자를 유치하며 마이데이터 사업 확장을 예고했습니다. AI 마케팅 에이전트 '리텐틱스'의 프라이데이즈랩, AI 기반 게임 엔진 개발사 아폴로 스튜디오, 차세대 화이트 바이오 제조 기업 제트론, 프리미엄 대여금고 서비스 볼트1932 등도 각자의 분야에서 투자를 유치하며 성장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케어닥 케어홈 프리미오 수원점 투시도 / 출처=케어닥
케어닥 케어홈 프리미오 수원점 투시도 / 출처=케어닥
온다가 75억 원 규모 시리즈B 브릿지 투자를 유치했다 / 출처=온다
온다가 75억 원 규모 시리즈B 브릿지 투자를 유치했다 / 출처=온다
빅테크플러스가 57억 원 규모 시리즈A 투자를 유치했다 / 출처=빅테크플러스
빅테크플러스가 57억 원 규모 시리즈A 투자를 유치했다 / 출처=빅테크플러스
아폴로 스튜디오가 시드 투자를 유치했다 / 출처=카카오벤처스
아폴로 스튜디오가 시드 투자를 유치했다 / 출처=카카오벤처스

4. [칼럼] 데이터 주권 시대, '운영 유연성'이 곧 미래 경쟁력이다

AI 확산과 지정학적 긴장이 고조되는 데이터 주권 시대에 '운영 유연성'이 기업과 정부의 핵심 경쟁력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퓨어스토리지코리아 지사장은 데이터의 위치, 접근 방식, 보안, 거버넌스 등을 신속하게 조정할 수 있는 역량이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이를 위해 통합 거버넌스 체계, 멀티클라우드·엣지·온프레미스 환경을 포괄하는 개방형 운영 구조, 그리고 지속 가능성회복탄력성을 갖춘 장기 전략이 필수적이라고 제언했습니다.

데이터 유연성과 데이터 주권을 상징하는 이미지 / 출처=제미나이로 생성함
데이터 유연성과 데이터 주권을 상징하는 이미지 / 출처=제미나이로 생성함

5. 세계로 뻗는 서울콘, 2026년 몽골에서도 열린다

서울경제진흥원(SBA)은 몽골 UG그룹과 업무협약을 맺고 글로벌 인플루언서 박람회이자 K-콘텐츠 축제인 서울콘을 2026년 상반기 몽골 울란바토르에서 공동 개최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서울콘의 국제적 위상을 강화하고, 서울의 중소기업과 창작자, K-콘텐츠 산업의 해외 진출 기회를 확대하는 중요한 발걸음으로 평가됩니다.

서울콘이 2026년 상반기 몽골에서도 열린다 / 출처=SBA
서울콘이 2026년 상반기 몽골에서도 열린다 / 출처=SBA

6. SBA '연구지표 진단 프로그램'으로 공공 R&D 실효성 높인다

서울경제진흥원(SBA)은 '연구지표 진단 프로그램'을 통해 153개 서울형 R&D 과제의 실효성을 높였습니다.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KCL),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KTR) 등 공인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연구개발 목표를 사전에 검증하고 구체화하며, 기술사업화를 촉진하는 '성과 중심 R&D 생태계'를 구축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는 공공 R&D 관리 방식의 패러다임을 전환하는 선도적인 시도로 평가됩니다.

SBA가 서울형 R&D 연구지표 진단 프로그램을 성공리에 마쳤다 / 출처=SBA
SBA가 서울형 R&D 연구지표 진단 프로그램을 성공리에 마쳤다 / 출처=SBA

7. 우트스킨케어, 자연의 회복력에서 찾은 ‘피부 본연의 힘’ / 생태계 교란 식물 화장품 원료로 탈바꿈…‘우트스킨케어’

지속가능한 뷰티 브랜드 우트스킨케어ESG 가치를 바탕으로 업사이클링을 통해 생태계 교란 식물인 '단풍잎돼지풀'을 화장품 원료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우트 풀로 미백 앰플'은 무자극 테스트를 통과한 제품으로 '피부 본연의 회복력'을 강조합니다. 이들은 제품 라인업을 확장하고 해외 시장 진출을 모색하며 환경 문제 해결과 지역사회 상생을 위한 순환형 산업 모델 구축을 목표하고 있습니다.

우트스킨케어의 우트 풀로 미백 앰플 / 출처=우트스킨케어
우트스킨케어의 우트 풀로 미백 앰플 / 출처=우트스킨케어
단풍잎돼지풀 / 출처=우트스킨케어
단풍잎돼지풀 / 출처=우트스킨케어
김나래 우트스킨케어 대표 / 출처=IT동아
김나래 우트스킨케어 대표 / 출처=IT동아

8. 무아베모션 “콘텐츠에 생명 심는 인터랙션 기술 전파” [고려대 초창패 2025]

고려대학교 스타트업 무아베모션은 AI 기반 인터랙션 기술을 활용한 콘텐츠 개발 엔진 '쿼크(Quark)'를 개발했습니다. 이 기술은 사용자가 자연어로 프롬프트를 입력하면 기존 콘텐츠(사진, 그림, 영상 등)에 생동감 있는 상호작용 요소를 쉽게 추가할 수 있게 합니다. 프롬프트-투-게임 환경을 제공하여 콘텐츠 개발의 진입 장벽을 낮추고, 디지털 동화책, 반응형 광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경험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KES(한국전자전) 2025에서 디지털 사이니지에 쿼크를 적용한 시연을 펼치는 무아베모션 / 출처=무아베모션
KES(한국전자전) 2025에서 디지털 사이니지에 쿼크를 적용한 시연을 펼치는 무아베모션 / 출처=무아베모션
무아베모션의 인터랙션 기술로 만든 3D 키즈 인터랙티브 북 / 출처=무아베모션
무아베모션의 인터랙션 기술로 만든 3D 키즈 인터랙티브 북 / 출처=무아베모션
무아베모션의 인터랙션 기술로 만든 3D 공룡 화석 발굴 체험 / 출처=무아베모션
무아베모션의 인터랙션 기술로 만든 3D 공룡 화석 발굴 체험 / 출처=무아베모션

9. “매장에 똑똑한 파트너 등장” 넥스트페이먼츠, 온톨로지 AI 에이전트로 소상공인 혁신 가속

넥스트페이먼츠는 소상공인을 위한 AI 전환(AX) 시대를 선도하며 '온톨로지 기반 AI 에이전트' 솔루션을 선보였습니다. 이 시스템은 POS, 키오스크 등에서 수집된 방대한 데이터를 맥락적으로 이해하여 소상공인에게 맞춤형 경영 컨설팅 및 자동화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또한 배리어프리 키오스크, AI 미디어 타겟 매대 등 하드웨어 기술 고도화를 통해 스마트상점으로의 디지털 전환(DX)을 가속화하고, 실용적이고 합리적인 AI 기술 보급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2025년 대한민국 소상공인대회 스마트기술 체험관 / 출처=IT동아
2025년 대한민국 소상공인대회 스마트기술 체험관 / 출처=IT동아
넥스트페이먼츠 온톨로지 기반 AI 에이전트 / 출처=넥스트페이먼츠
넥스트페이먼츠 온톨로지 기반 AI 에이전트 / 출처=넥스트페이먼츠
2025년 대한민국 소상공인대회 스마트기술 체험관에 전시된 넥스트페이먼츠의 배리어프리 키오스크 / 출처=IT동아
2025년 대한민국 소상공인대회 스마트기술 체험관에 전시된 넥스트페이먼츠의 배리어프리 키오스크 / 출처=IT동아

오늘의 핵심 키워드

AI 혁신 GPU AI 팩토리 전기차 (EV) 800V 고전압 시스템 무선 충전 스타트업 투자 호스피탈리티 AI 부동산 핀테크 마이데이터 데이터 주권 운영 유연성 멀티클라우드 지속가능성 ESG 업사이클링 K-콘텐츠 글로벌 인플루언서 박람회 공공 R&D 기술사업화 인터랙션 기술 AI 게임 엔진 소상공인 AI 전환 (AX) 스마트상점 온톨로지 기반 AI

오늘의 IT 뉴스는 인공지능이 산업 전반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모빌리티는 전동화와 지능화를 통해 진화하며, 스타트업들이 혁신적인 아이디어로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또한, 데이터 관리의 중요성과 ESG 가치를 실현하는 지속가능한 비즈니스 모델이 미래 경쟁력의 핵심임을 시사합니다. 이러한 트렌드들은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미래 사회의 모습을 그려나가고 있습니다.


Copyright © lifeuniverse.kr All rights reserved.